카테고리 없음

당연한 것을 지키는 것,사고 예방의 출발 - 위기관리 10대 원칙

Risk Intelligence & Resilience 2018. 11. 30. 21:00

http://dbr.donga.com/article/view/1101/article_no/6429

현명한 사람은 본인이 직접 겪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의 경험, 실패로부터 배우고 교훈을 얻는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다른 기업이나 조직에서 발생한 여러 형태의 위기, 사건, 사고, 대응 실패 사례 등을 학습하고 분석해서 시정하고 개선해야 한다. 실패 유형을 숙지하면 실패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도 그만큼 높아진다. 유사하거나 동일한 실패를 경험할 확률이 그만큼 줄기 때문이다.

많은 기업들은 최근 일어난 대형 사고에서 지적되는 부실, 취약점, 문제점 등을 그대로 안고 있다. 기업에 위기 또는 기회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리스크에 대해 상당히 제한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또 리스크에 통합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각 부서가 따로 대처하고, 전사적 대응이 필요한 리스크와 위기에 대한 센싱(sensing)은 대부분 최고경영진에서 하향식으로 전달되는 단방향 커뮤니케이션에 그칠 때가 많다. 더욱 심각한 것은 구성원이 ‘주도적이고 책임 있는 문제의 예방 및 해결자’로 나서기보다는 ‘상부 지시를 따르는 충실한 이행자’의 역할을 하는 소극적인 방식이 관행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역동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업은 유연성을 발휘하고 변화에 대한 반응속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전략과 시나리오를 미리 준비하고 실행에 옮겨야 한다. 전략을 실행하고 위기에 먼저 대응하는 관리역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림 1>의 위기 관리 방향성과 목표를 가져야 한다.

최근 대형 사건, 사고에서 드러난 것처럼 리스크1 , 위기에 대처할 때 ‘타이밍’을 놓치면 이후 대처가 더 어려워진다. 타이밍을 놓치는 주된 이유는 과거 사고와 관행을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이유도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려면 미리 리스크와 위기 관리의 범위를 정하고 경영진과 직원의 양방향 프로세스가 이뤄져야 한다. 또 리스크, 위기 관리 업무를 ‘전담하는 독립적인 부서’도 만들어야 한다. 리스크 관리, 위기대응은 큰 그림에서 전사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전사적 리스크 관리 목표를 고려해서 부문별로 어떤 문제가 있는지 통합적으로 점검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할 때도 각 부문이 유기적으로 협조해야 제대로 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능동적인 실행 기반은 필수다.

기업 생존을 위한 10가지 원칙

재해 등 큰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인간의 몸은 즉각 반응한다. 몸에 선천적으로 저장된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경험과 훈련을 통해 배우는 후천적으로 만들어진 뛰어난 방어기제가 가세한다. 경찰, 군인, 우주비행사를 훈련시키는 전문가들은 “실제 위협은 준비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입을 모은다. 그만큼 미리 준비하고 대처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더 많이 준비할수록 비상상황에서 잘 대처할 수 있다는 의식이 강해져서 사람들에게 공포심을 덜 발생하게 한다. 9·11 테러 당시 미국 뉴욕의 세계무역센터에서 비상계단의 위치를 알거나 대피훈련에 한 번이라도 참여한 사람이 그렇지 않았던 사람보다 부상을 덜 당했다. 장기적인 건강문제에 시달리는 확률이 훨씬 적었다. 이런 상황을 기업에 적용할 수 있다. 기업의 ‘리질리언스(resilience)’는 갑작스런 충격에서 벗어나서 일상적인 활동으로 돌아갈 수 있는 능력과 속도를 의미한다. 리질리언스는 기업에 경험, 훈련, 준비 등을 통해 만들어진 ‘제2의 방어기제’라고 할 수 있다. 리질리언스를 갖고 있는 기업은 예측이 가능한 사건, 사고뿐만 아니라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업무 재개와 정상화가 빠르게 이뤄진다.